사업소개
시민력 강화 지원 사업
시민 참여기반 복지공동체 실현
사회복지를 학습하고 토론하는 시민 프로그램 운영
※ 시민 참여 프로그램은 수시로 진행합니다.
관련 정보는 '정보 알림 신청'을 이용하세요.
메일이나 문자로 알려드립니다.
시민 복지 교육
시민복지 인식개선사업
사회복지 시민교육
‘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’ |
주제 |
내용 |
나는 누구인가? |
나에 대한 성찰 |
생존과 실존 사이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? |
나와 공동체, 정치와의 관계 |
내가 살고 싶은 복지국가 |
복지국가와 정책 |
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? |
학습동아리 형성 및 영화로 세상 읽기 |
사회복지와 다양한 분야와의 만남
‘사회복지, 인권과 인문학을 만나다’ |
저서 |
저자 |
인권과 오디세이 |
조효제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|
우리가 몰랐던 노동 이야기 |
하종강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 주임교수 |
까대기 |
이종철 작가 |
장애학의 도전 |
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|
조난자들 |
주승현 박사 |
세상에서 가장 약한 요괴 |
김동식 작가 |
사회복지 정책전문가 아카데미
‘정책상상, 권리를 넘어 실천으로’ |
주제 |
내용 |
정책으로 세상이 행복해질 수 있을까? |
정책의 원리와 철학 |
복지정책,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가? |
복지정책의 발달과 변화 |
누구에게 어떻게 나누어줄 것인가? |
복지정책의 형성과 결정 |
정책, 넌 뭐니? |
인천시 조례 제정 |
복지정책, 어디쯤 위치하고 있는가? |
정책설계와 사례분석 |
예산, 그것이 알고 싶다 |
예산의 편성과 사용 |
나의 정책 아이디어 현실로 만들기 |
인천복지동향과 정책 참여 방법 |
내 삶을 바꾸는 상상과 실천 |
정책활동 사례 공유 및 정책 아이디어 제안 |
공공전달체계 복지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복지교육
교육 대상 |
시·군·구(읍면동) 사회복지 업무담당자 |
교육 내용 |
현장 업무 역량 강화교육, 프로그램 지원 |
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링 활동가 양성 교육
교육 대상
교육 대상 |
인천시민
|
교육 내용 |
-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링 기본, 보수 교육
-후속 모임 운영
|
교육 내용
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 양성 교육
|
주제 |
내용 |
철학이 어떻게 정책이 되는가? |
인복드림 철학과 지역사회보장계획 |
정책하는 시민들의 사회복지 실천 |
지역사회보장계획 이해와 사회복지 실천 사례 |
인천시 복지 정책과 지역사회보장계획 |
인천시 복지 정책과 지역사회보장계획 |
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 방법 |
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 사례 및 방법 |
시민참여 확대
인복시민참여단 시범사업
추진 절차
시민복지교육 컨텐츠
선배 시민 대학 |
주차 |
제목 |
1 |
NO人인가, KNOW人인가 |
2 |
나는 생각하는가 |
3 |
생존에서 실존으로 |
4 |
선배시민의 길을 낸 사람들 |
5 |
선배시민, 후배시민을 품다 |
6 |
내 공간에서 나다운 실천을 상상하라 |
일반 시민 대학 |
주차 |
제목 |
1 |
나는 생각하는가 |
2 |
위험은 누구 책임인가 |
3 |
NO人인가, KNOW人인가 |
4 |
선배시민의 집, 생존에서 실존으로 |
5 |
선배시민, 후배시민을 품다 |
6 |
시민과 권리형 실천 |
인복시민참여단 포럼·축제 개최
인천시 복지 현안 공유하고 토론하는 공론장
시민복지 학습동아리
2020년 활동 학습동아리
|
번호 |
동아리 이름 |
1 |
4기행복한가정만들기상담원 |
2 |
I.S.C (Incheon Social worker Club) |
3 |
그랜드 |
4 |
다소미 |
5 |
더함(더불어함께하는세상) |
6 |
도토리 |
7 |
매시아(매달만나는민주시민양성아카데미아) |
8 |
복지리더북클라쓰 |
9 |
서구사회복지학습동아리 |
10 |
이모작 |
11 |
인천 ability link |
12 |
풀소리 |
top